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 차트에서 이격도 지표 설정 방법과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격도(Disparity)란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차트 보조지표로, 당일의 주가를 이동평균치로 나눈 백분율 값입니다. 이격도는 투자 시점을 포착하는데 주로 활용하는 기술적 지표이기도 합니다.
이격도 지표 설정 방법
'좌측메뉴 보이기/감추기' 버튼을 클릭합니다.
차트 화면 왼쪽 메뉴에서 [기술적 지표] > [모멘텀 지표] > [이격도] 메뉴를 클릭합니다.
거래량 차트 밑으로 이격도 차트가 표시됩니다.
이격도 차트의 이격도선을 클릭해서 선택한 후,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면 팝업창이 뜹니다. 메뉴 중에서 '기술적지표 설정' 메뉴를 클릭합니다.
위와 같이 이격도 '지표 설정' 창이 뜹니다. 이격도 분석에서 사용되는 이동평균 기간은 보통 20일과 60일을 많이 사용합니다. 저는 20일선으로 합니다. 따라서 20일 이동평균선에 대한 이격도만 보면 되기 때문에 나머지는 지워줄 것입니다.
지표조건설정 탭에서 20일을 제외한 모든 기간을 0으로 설정합니다.
기준선설정 탭을 선택한 다음, 왼쪽 입력란에 90을 입력하고 '기준선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고 나서 다시 110을 입력하고 '기준선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오른쪽에서 원하는 색상, 스타일, 너비를 설정합니다. 저는 선 굵기만 변경하겠습니다. 너비 부분의 풀다운 버튼을 클릭해서 2포인트(pt)를 선택한 다음,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이격도 설정이 완료되었습니다. 이격도가 100이라는 것은 주가와 이동평균선이 같다는 뜻입니다. 100 이상이라는 것은 주가가 이동평균선 위에 있다는 것이고, 100 이하라는 것은 주가가 이동평균선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또한 주가가 이동평균선보다 훨씬 위에 있으면 현재 주가가 과열 양상일 확률이 높으며, 조만간 다시 주가가 내려갈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가가 이평선보다 훨씬 아래에 있으면 조만간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격도 지표만으로는 주가가 언제 이동평균선에 수렴할지는 예측할 수가 없습니다. 왜냐 하면, 차트의 모든 지표는 후행성이기 때문입니다.
이격도 지표의 활용 방법
이격도 지표를 활용하려는 이유는 주가는 이동평균선으로부터 멀어지면 언젠가는 다시 이동평균선으로 되돌아오려는 특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격도 분석은 이격도가 일정 수준 이상이나 이하에서 변곡점이 나타나거나 기준값을 돌파하면 매수 또는 매도의 시점으로 분석합니다. 또한, 이러한 이격도 분석은 매도보다 매수 시점을 선택할 때 유리하고, 단기보다는 중, 장기 투자에 유리한 면이 있습니다.
위의 차트는 키움증권사의 MTS 차트입니다. 다른 증권사 차트도 별반 차이가 없습니다. 먼저 캔들 차트의 20일 이동평균선(청색)을 봅니다. 2022년 3월 초에 주가가 20일선을 뚫고 올라갔습니다. 이때 이격도 보조 차트에서도 100을 돌파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이격도는 현재 주가가 이평선 위에 있는지, 아래에 있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20일 이동평균선인 경우 이격도가 105% 이상이면 매도 신호이고, 95% 이하이면 매수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주식 차트에서 이격도 지표 설정 방법과 활용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닥 · 코스피 지수 차트 찾는 방법. 증권사 HTS (0) | 2023.03.30 |
---|---|
주린이의 종목 분석, 서희건설 주식회사 (0) | 2023.03.30 |
주린이의 종목 분석, 다올투자증권 주식회사 (0) | 2023.03.29 |
주식 무상증자와 권리락, 그리고 주가의 영향 (0) | 2023.03.28 |
주린이의 종목 분석, 피에스케이 주식회사 (2) | 2023.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