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투자

주린이의 종목 분석, 서희건설 주식회사

by 어쩌다흙수저 2023. 3. 30.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서희건설(주) 종목을 주린이 입장에서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어떤 회사인가

서희건설은 1982년 10월 22일에 운송업체인 영대운수로 설립되어 운송업을 영위하다가, 1994년 9월에 건설업으로 업종 전환했습니다. 포스코의 포항사업소, 광양사업소 토건정비공사를 시작으로 조달청 발주공사, 지자체의 발주공사 등 다수의 관급 및 민간공사를 수주하며, 지역주택사업을 영위하는 중견건설업체입니다.

서희건설-홈페이지
서희건설 홈페이지

지역주택조합으로부터 도급받아 공사를 시행하는 형태의 사업 방식이며, 주택 브랜드로 ‘서희스타힐스’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향후 주택경기 하강 국면에 대비하여 임대주택사업 등 사업모델을 다각화하여 시장경쟁력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합니다. 현재 본사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기본적 분석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은 차트를 중심으로 한 기술적 분석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기업의 재무제표를 주로 분석하는 것입니다. 과거와 현재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실적을 예상하는 데 사용됩니다. 장기 보유를 전제로 한 경우에는 배당 등의 이율을 중시하는 입장을 취하고, 주가에 전혀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단기간의 오르내림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접근 방식입니다. 그럼, 서희건설(주) 종목의 기업분석을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부채비율은 자본에 비해서 부채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 수 있는 비율입니다. 이 수치가 작을수록 외부 의존도가 낮고 채무를 자체적으로 보다 완만히 해결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산업군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이면 표준비율이기 때문에 양호한 편이고, 200%를 초과하면 위험하다고 봅니다. 

통상적인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132.54%(2020), 128.00%(2021), 113.80%(2022)입니다. 현재 200% 이하이며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영업이익률은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나 되는지를 봅니다. 13.64%(2020), 15.55%(2021), 14.33%(2022년)입니다. 10%를 넘었습니다.

EPS(Earnings Per Share)는 주당순이익을 뜻합니다. 주식 1주로 얼마의 순이익을 내고 있는지 나타냅니다. 597원(2020), 631원(2021), 427원(2022년)입니다.

PER(Price Earning Ratio)은 기업의 실적과 주가의 관계를 나타낸 지표로 주가수익률을 뜻합니다. 2.56배(2020), 2.63배(2021), 2.65배(2022년)입니다.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10배 이하면 저평가입니다.

BPS(Book-value Per Share)는 주당 순자산 가치, 또는 주당 장부가치를 뜻합니다. 2,358원(2020), 2,965원(2021), 3,361원(2022년)이며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현재 주가는 1,207원(2023.03.29. 현재)입니다.

PBR(Price to Book Ratio)은 주가순자산비율을 뜻합니다. 0.65배(2020), 0.56배(2021), 0.34배(2022년)이며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1배 이하면 저평가입니다.

ROE(Return On Equity)는 자기자본 이익률입니다. ROE가 10%이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경우 1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10% 이상이면 좋습니다. 27.81%(2020), 24.74%(2021), 14.08%(2022년)이며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ROA(Return On Assets)는 '총자산 이익률'을 뜻합니다. ROA는 ROE와 비교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ROE는 높은데 ROA가 낮은 기업은 재무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함께 높거나 비슷하다면 자산 운용을 잘하는 회사이기 때문에 성장성이 있습니다. 11.43%(2020), 9.89%(2021), 6.38%(2022년)이며,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ROS(Return On Sales)는 매출액 순이익률을 뜻합니다. 순이익을 순매출로 나눈 것입니다. 동일 업종과 비교할 때만 유용합니다. 표준비율은 5% 이상입니다. 6.96%(2022년)입니다.

당좌비율은 단기에 상환해야 할 부채에 대해서 기업이 얼마나 변제능력이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100%를 넘으면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08.50%(2020), 97.13%(2021), 125.94%(2022년)입니다.

유보율은 기업이 얼마나 많은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500% 이상이면 안전하다고 합니다. 371.70%(2020), 487.88%(2021), 563.87%(2022년)이며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총자산 증가율은 기업의 총자산이 전년 대비 얼마나 증가했는가를 나타냅니다. 20%를 넘을 경우 성장률이 매우 높다고 판단합니다. 하지만 부채가 늘어서 자산이 증가하거나, 부채상환으로 자산이 감소할 수도 있습니다. 21.13%(2021), 6.27%(2022년)입니다.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매출액 증가율은 일정 기간 동안 매출액이 증가한 비율을 말합니다. 보통 3년에서 5년간의 데이터를 비교합니다. 높을수록 좋은 기업이나 3년 연속 매출액이 증가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4.04%(2021), 8.10%(2022년)입니다.

순이익 증가율이란 전기에 비해서 이번 연도에 얼마나 순이익이 증가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장성도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한 해만의 수치로 기업의 성장성을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므로 여러 해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7.69%(2021), -27.09%(2022년)입니다.

영업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18.58%(2021), -0.34%(2022년)입니다. 감소했습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회사가 실제로 해당 기간에 남긴 현금 규모를 파악하기에 가장 좋습니다. 2,361억 원(2020년) > 2,856억 원(2021년) > 1,511억 원(2022년)

 

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은 기본적 분석과 대비되는 분석으로, 주식 시장에서 주로 시세 동향 그래프인 차트를 이용해 분석하며 과거 주식의 가격이나 거래량 같은 자료를 이용하여 주가 변화의 추세를 발견해 내어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차트를 보며 어떤 시점에서 올라갔고 어떤 시점에서 내려갔는지 이슈를 체크해 봅니다. 주식은 관심이 있어야 주가가 올라가기 때문에 낮은 가격 때에 사서 높은 가격 때에 파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그런 부분들을 체크해서 다음 이슈를 노려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또한, 주가가 갑자기 많이 올랐을 때도 그 이유를 찾아보아야 합니다.

서희건설의-일봉-차트
서희건설의 일봉 차트

서희건설의 일봉 차트입니다. 20일선이 60일선을 뚫은 골든크로스 지점부터 상승을 하는데, 특별한 이슈는 찾지 못했습니다. 상승한 구간은 거래량이 상당히 발생했습니다. 그리고 데드크로스 지점 이후로 역배열 이동평균선을 그리며 죽 하락 추세입니다. 어느 가격대에서 지지를 받으며 현재 횡보 중입니다.

서희건설의-주봉-차트
서희건설의 주봉 차트

서희건설의 주봉 차트입니다. 이격도 보조지표를 거래량 아래에 추가시켰습니다. 주가가 20일선을 뚫고 올라가서 이격도 110을 넘은 시점이 매도 타이밍이라고 판단합니다. 또한 주가가 20일선을 뚫고 내려가서 이격도 90을 넘은 시점이 매수 타이밍이라고 판단됩니다.

서희건설의-월봉-차트
서희건설의 월봉 차트

재무상태는 나쁜 편이 아니지만, 최근 부동산 경기 침체, 주력사업에서 미분양으로 인한 재무리스크가 증가하고 있고, 연대보증 리스크도 커지고 있어, 서희건설은 유동성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라서 앞으로 주가가 어느 정보 횡보할 것 같습니다.

현금,-현물배당-공시
현금, 현물배당 공시

1년에 한 번 배당금도 있습니다. 보통주 1주당 배당금이 45원입니다. 배당금 총액은 99.10억 원이며, 배당 기준일은 2022년 12월 31일이고, 배당금 지급 예정일자는 2023년 4월 14일입니다.

저는 주식 초보자입니다. 위 내용은 주린이로서 나름 열심히 공부한 내용입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점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하고,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