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캠코더(비디오카메라)나 디지털카메라, 스마트폰 등으로 촬영한 비디오 파일들을 조합해 하나의 동영상으로 완성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비디오 파일 불러오기
비디오 파일을 읽어 들이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홈' 탭의 '비디오 및 사진 추가'를 클릭하거나 타임라인 한가운데에 있는 아이콘을 클릭해서 비디오 파일을 불러오는 방법입니다.
비디오 파일을 불러와 읽어 들이는 중입니다.
편집창의 타임라인상에 불러온 비디오 파일이 나열됩니다.
비디오 파일을 불러오면 시작 부분과 끝부분에 무슨 표시가 되어있습니다. 이것은 아마 영화필름 '퍼포레이션'을 본뜬 것 같습니다. 첫 퍼포레이션으로부터 끝 퍼포레이션까지가 하나의 비디오 '클립'입니다.
클립상에 검은색 세로바가 있는데, '재생 인디케이터'라고 하며, 이 재생 인디케이터를 클릭해서 좌우로 움직이면 왼쪽 재생 화면에서 그 움직임을 볼 수 있습니다. 필요 없는 부분을 잘라낼 때도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참고적으로 퍼포레이션(perforation)이란, 옛날 아날로그 카메라에 필름을 끼워 넣고, 필름을 연속으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 필름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간격으로 뚫어놓은 구멍을 말합니다.
비디오 파일은 한 편만 불러올 수도 있고, 여러 편을 선택해서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비디오를 추가할 경우에는 원하는 위치에 세로바(재생 인디케이터)를 클릭해서 놓고 불러오기를 합니다.
몇 편의 비디오 파일을 한 번에 불러올 경우에는 'Shift' 키 혹은 'Ctrl' 키를 누른 상태에서 파일을 선택하면 됩니다. 파일명의 순서대로 자동적으로 타임라인상에 정렬됩니다.
비디오 클립 삭제하기
불러온 비디오 클립을 삭제할 경우에는 먼저 삭제하고자 하는 비디오 클립을 클릭해서 선택합니다.
오른쪽 마우스로 클릭한 다음, 풀다운 메뉴 중에서 '삭제' 메뉴를 클릭하면 타임라인상에서 삭제가 됩니다. 또 다른 방법은 비디오 클립을 선택하고 키보드의 'Delete'(삭제) 키를 눌러서 삭제하는 방법입니다.
편한 방법을 선택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삭제된 비디오 파일은 무비메이커 타임라인상에서만 삭제되고, 원래 PC내에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파일은 삭제되지 않습니다.
비디오 클립 순서 변경하기
불러온 비디오 클립의 순서를 바꾸려면, 타임라인에서 해당 비디오 클립을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으로 원하는 위치에 끌어서 놓으면 됩니다.
비디오 볼륨 조절하기
촬영한 비디오 클립에는 녹음된 목소리, 그리고 그 외 사운드가 들어있습니다. 필요에 따라서 '비디오 볼륨'으로 조절할 수가 있습니다.
비디오 클립을 선택한 다음, '동영상 도구'에서 '비디오 볼륨'을 클릭합니다.
비디오 볼륨 조절바를 좌우로 움직여 볼륨 크기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기능 이용하기
페이드 인, 페이드 아웃 기능도 줄 수가 있습니다. 페이드 인은 화면이 어둡다가 점차 밝아지는 것이고, 페이드 아웃은 반대로 차츰 어두워지면서 사리지는 기능인데, 사운드에서도 서서히 큰 사운드로, 또는 반대로 서서히 작은 사운드로 사라지게 하는 기능입니다.
오른쪽의 팝업 메뉴에서 원하는 메뉴를 선택하면 됩니다.
비디오 컷 편집
다음은 비디오 클립을 분할해 필요한 곳만 이용하거나 전후의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하는 방법, 즉 동영상 편집의 기본인 '컷 편집'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위 비디오 클립의 끝부분이 필요 없다고 가정해서 삭제해 보겠습니다.
재생 인디케이터를 잘라내고자 하는 부분의 시작 부분에 갖다 놓습니다. 그러고 나서 '동영상 도구'의 '분할' 메뉴를 클릭하면 해당 비디오 클립이 분할됩니다.
삭제하고자 하는 비디오 클립 위에서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해서 '삭제' 메뉴를 선택하면 분할된 클립만 삭제가 됩니다. 이렇게 해서 필요 없는 부분을 앞뒤로 잘라낼 수가 있습니다.
'자르기 도구(트리밍)'를 이용한 컷 편집
다음은 '자르기 도구'를 이용해서 필요 없는 부분을 없애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자르기 도구'는 '어느 지점에서', '어느 지점까지'를 분리하거나, 시점 · 종점을 지정하고, 그것을 확정하면, 지정한 곳만 남아, 그 이외가 삭제가 됩니다.
비디오 클립 중 적색 부분만 필요한 것으로 가정하고, 앞뒤를 삭제해 보겠습니다.
우선 비디오 클립을 선택한 상태에서 작업 메뉴의 '잘라내기 도구'를 클릭합니다. 이때 재생 인지케이터 장소는 어디든 상관없습니다.
그러면, 이런 '자르기 도구' 전용 화면이 나타납니다.
슬라이드바 상에, 세로 직사각형 2개와 작은 타원형의 재생 인디케이터가 있습니다. 이 세로 직사각형 사이에 있는 범위가 '남는 클립'이고, 그 밖이 '삭제되는 클립'입니다. 이 세로 직사각형을 드래그해서 범위를 선택하는 방법이 있고,
다른 방법은 재생 버튼을 눌러 비디오를 보면서 남기고 싶은 시작 부분에서 정지시키고,
작업 메뉴에 있는 '시작 지점 설정'을 클릭하는 방법입니다. 종료 지점도 마찬가지입니다.
범위를 선택했다면, 작업 메뉴의 '자르기 저장'을 클릭합니다. '분할'해서 삭제하든, '자르기 도구'를 이용해서 삭제하든, 가장 편한 방법을 고르시면 됩니다.
전환 효과 넣기
다음은 비디오 클립과 비디오 클립을 연결시켜 주는 '전환 효과' 삽입 방법입니다. 다수의 비디오 클립을 나열했을 때, 갑자기 다음 비디오가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장면 전환이 되도록 비디오 클립과 비디오 클립을 이어주는 것이 '전환효과'입니다.
적색 부분이 '장면 전환'이 이루어지는 부분이고, 거기에 전환 효과를 주어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장면 전환으로 할 수 있습니다.
전환 효과는 작업 메뉴의 '애니메이션'의 왼쪽 '전환' 효과에서 설정합니다.
첫 비디오 클립을 클릭해서 선택한 다음, '자세히' 버튼을 클릭해 봅니다.
몇 가지 '전환' 효과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그중 하나를 클릭해서 선택해 보면, 비디오 클립의 앞부분에 삼각형 모양의 표시가 붙습니다.
이번엔 두 번째 비디오 클립을 선택한 후, 애니메이션 효과의 '자세히'를 눌러봅니다.
첫 비디오 클립의 '전환' 때와는 다르게 많은 효과가 나타납니다.
그중 하나를 클릭해서 선택하면, 역시 비디오 클립의 앞부분에 삼각형 모양의 표시가 붙습니다.
이렇게 해서, 그 비디오 클립과 바로 앞의 비디오 클립의 이음매에 효과가 설정됩니다. 커서를 맞추면 어떤 효과가 설정되어 있는지, 비디오 클립의 상세 정보가 표시됩니다.
전환 효과에서는 앞의 동영상 클립과 뒤의 동영상 클립이 겹치게 되어, 그것을 위한 '이음부'가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환 효과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컷편집 시에 '이음부'를 조금 남겨두면 좋을 것입니다. 또, 동영상 촬영시도, 그것을 염두에 두어 좀 길게 찍어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와 같은 입문자분들은 '전환' 효과를 너무 많이 쓰면 우스꽝스럽거나 조잡한 동영상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겹쳐서 나타나는 기능 정도로 하는 것이 보기 좋다고 생각합니다.
비디오 속도 조절
다음은 비디오의 속도 조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때에 따라서는 단순하고 지루한 부분을 빨리 지나가게 할 수도 있으며,
슬로모션 효과도 줄 수가 있습니다.
동영상 안정화 기능
무비 메이커에는 '동영상 안정화'라는 기능이 있는데, 영상촬영 시의 흔들림을 어느 정도 잡아주는 것 기능입니다.
비디오 클립을 선택하고 메뉴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하부 메뉴가 뜹니다. 필요에 따라서 선택하셔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한 가지 이상한 점은 Windows10 버전에 설치된 무비메이커에는 있는데, Windows7 버전의 무비메이커에는 '동영상 안정화' 기능이 없습니다. 이유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
유튜브용으로 저장하기
마지막으로 유튜브에 올리기 위해서 저장을 해보겠습니다.
우측 상단에 있는 '동영상 저장' 메뉴를 클릭하면 팝업 메뉴가 뜹니다.
밑으로 스크롤해서 내려보면 'YouTube'용이 있습니다. 클릭해서 선택합니다.
저장할 곳을 선택한 후, 저장해서 유튜브에 그대로 올리면 됩니다. 저장은 'mp4' 파일로 저장됩니다.
오늘은 캠코더나 디지털카메라, 스마트폰으로 촬영한 비디오 파일들을 조합해 하나의 동영상으로 완성시키는 '컷편집' 방법과 유튜브에 올리기 위해서 '저장'하는 방법까지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유튜브로 돈벌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60초 유튜브 쇼츠(Shorts) 동영상 업로드 방법 (0) | 2023.02.07 |
---|---|
15초 유튜브 쇼츠(Shorts) 동영상 업로드 방법 (12) | 2023.02.07 |
Windows 무비메이커 3부. 화면 전환, 배경음악 (0) | 2023.02.04 |
Windows 무비메이커 2부. 사진, 제목, 자막 (0) | 2023.02.03 |
Windows 무비메이커 1부. 설치 방법과 프로젝트 설정 (0) | 2023.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