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투자

주린이의 종목 분석, 주식회사 케이엠

by 어쩌다흙수저 2023. 4. 4.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클린룸용 소모품 업계 국내 1위 기업인 케이엠 종목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안성과 평창에 공장을 두고 PVC 장갑, 방진복, 클린룸 폴리에스터 와이퍼, 마스크, 방염복 및 방화복 등을 생산하는 청정용품 생산 기업입니다.

케이엠-홈페이지
케이엠 홈페이지

 

케이엠은 어떤 회사인가

케이엠은 1989년 설립되어 반도체 산업의 클린룸에 사용되는 소모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2005년 12월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업체입니다. 현재 클린룸 장갑은 미국 OAK사와 세계 시장을 양분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완전 독점 생산, 공급을 하고 있으며, 마스크, 방진복, 반도체 크린룸 소모품 등 오염제거 관련 제품을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기본적 분석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은 차트를 중심으로 한 기술적 분석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기업의 재무제표를 주로 분석하는 것입니다. 과거와 현재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실적을 예상하는 데 사용됩니다. 장기 보유를 전제로 한 경우에는 배당 등의 이율을 중시하는 입장을 취하고, 주가에 전혀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단기간의 오르내림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접근 방식입니다. 그럼, (주)케이엠 종목의 기업분석을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부채비율은 자본에 비해서 부채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 수 있는 비율입니다. 이 수치가 작을수록 외부 의존도가 낮고 채무를 자체적으로 보다 완만히 해결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산업군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이면 표준비율이기 때문에 양호한 편이고, 200%를 초과하면 위험하다고 봅니다. 

케이엠의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48.52%(2020), 43.29%(2021), 38.91%(2022)입니다. 3년 연속 100% 이하로 양호합니다.

영업이익률은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나 되는지를 봅니다. 22.67%(2020), 5.81%(2021), 4.56%(2022년)입니다. 감소 추세입니다.

EPS(Earnings Per Share)는 주당순이익을 뜻합니다. 주식 1주로 얼마의 순이익을 내고 있는지 나타냅니다. 2,779원(2020), 637원(2021), 648원(2022년)입니다.

PER(Price Earning Ratio)은 기업의 실적과 주가의 관계를 나타낸 지표로 주가수익률을 뜻합니다. 4.26배(2020), 12.54배(2021), 9.42배(2022년)입니다. 10배 이하면 저평가입니다.

BPS(Book-value Per Share)는 주당 순자산 가치, 또는 주당 장부가치를 뜻합니다. 10,507원(2020), 11,460원(2021), 12,138원(2022년)이며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현재 주가는 5,850원(2023.04.03. 현재)입니다.

PBR(Price to Book Ratio)은 주가순자산비율을 뜻합니다. 1.13배(2020), 0.70배(2021), 0.50배(2022년)입니다. 1배 이하면 저평가로 봅니다.

ROE(Return On Equity)는 자기자본이익률입니다. ROE가 10%이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경우 1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10% 이상이면 좋습니다. 32.92%(2020), 6.24%(2021), 5.91%(2022년)이며 3년 연속 감소 추세입니다.

ROA(Return On Assets)는 총자산이익률을 뜻합니다. ROA는 ROE와 비교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ROE는 높은데 ROA가 낮은 기업은 재무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함께 높거나 비슷하다면 자산 운용을 잘하는 회사이기 때문에 성장성이 있습니다. 21.49%(2020), 4.22%(2021), 4.22%(2022년)입니다. 

ROS(Return On Sales)는 매출액순이익률을 뜻합니다. 순이익을 순매출로 나눈 것입니다. 동일 업종과 비교할 때만 유용합니다. 표준비율은 5% 이상입니다. 17.40%(2020), 5.17%(2021), 5.08%(2022년)입니다. 3년 연속 5% 이상을 유지하고 있지만, 감소 추세입니다.

당좌비율은 단기에 상환해야 할 부채에 대해서 기업이 얼마나 변제능력이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100%를 넘으면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38.65%(2020), 122.85%(2021), 126.22%(2022년)입니다. 3년 연속 100%를 넘고 있습니다.

유보율은 기업이 얼마나 많은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500% 이상이면 안전하다고 합니다. 2,174.72%(2020), 2,202.99%(2021), 2,238.93%(2022년)이며 증가 추세에 있고, 3년 연속 500% 이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총자산 증가율은 기업의 총자산이 전년 대비 얼마나 증가했는가를 나타냅니다. 20%를 넘을 경우 성장률이 매우 높다고 판단합니다. 하지만 부채가 늘어서 자산이 증가하거나, 부채상환으로 자산이 감소할 수도 있습니다. 29.95%(2020), 4.77%(2021), 2.67%(2022년)입니다. 20%는 넘지 못했고, 감소 추세입니다.

매출액 증가율은 일정 기간 동안 매출액이 증가한 비율을 말합니다. 보통 3년에서 5년간의 데이터를 비교합니다. 높을수록 좋은 기업이나 3년 연속 매출액이 증가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47.26%(2020), -23.79%(2021), 5.87%(2022년)입니다. 2021년은 힘들었나 봅니다.

순이익 증가율이란 전기에 비해서 이번 연도에 얼마나 순이익이 증가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장성도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한 해만의 수치로 기업의 성장성을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므로 여러 해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410.94%(2020), -77.37%(2021), 4.05%(2022년)입니다. 

영업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491.67%(2020), -80.52%(2021), -16.87%(2022년)입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회사가 실제로 해당 기간에 남긴 현금 규모를 파악하기에 가장 좋습니다. 294억 원(2020년) > -23억 원(2021년) > 122억 원(2022년) 

재작년과 작년 모든 기업들이 힘들었던 것을 감안해서 판단해야겠죠. 그래도 상당히 분발한 것 같습니다. 종합적으로 판단했을 때 재무적으로는 보통이라고 판단됩니다.

 

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은 기본적 분석과 대비되는 분석으로, 주식 시장에서 주로 시세 동향 그래프인 차트를 이용해 분석하며 과거 주식의 가격이나 거래량 같은 자료를 이용하여 주가 변화의 추세를 발견해 내어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차트를 보며 어떤 시점에서 올라갔고 어떤 시점에서 내려갔는지 이슈를 체크해 봅니다. 주식은 관심이 있어야 주가가 올라가기 때문에 낮은 가격 때에 사서 높은 가격 때에 파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그런 부분들을 체크해서 다음 이슈를 노려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또한, 주가가 갑자기 많이 올랐을 때도 그 이유를 찾아보아야 합니다.

케이엠의-일봉-차트
케이엠의 일봉 차트

케이엠의 일봉 차트입니다. 1차 지지선이 깨지고 2차 지지선도 깨진 상태입니다. 2020년도에는 코로나 영향으로 특수를 이루었고, 마스크의 수요가 크게 늘어나면서 영업이익 500% 급증하는 등 깜짝 실적을 냈습니다. 하지만, 2021년는 실적 부진으로 주가에 실적 추세가 반영된 것 같습니다.

2022년 1월 7~10일 급등은_삼성전자가 케이엠의 친환경 GRS 인증 방진복을 채택했다는 소식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또한, 7월 18일의 급등도 삼성전자가 화성과 수원 등에서 배출되는 페트(PET) 병을 수거해 재활용한 리사이클 방진복을 만들겠다는 소식에 케이엠의 주가가 영향을 받은 것으로 케이엠이 삼성전자의 방진복 개발의 협력사로 나선다고 전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12월 8일의 급등은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일목균형표
일목균형표

일목균형표입니다. 전환선이 기준선을 밑도는 지점이 데드크로스이며 매도 타이밍이고, 반대인 경우가 골든크로스이며 매수 타이밍입니다. 또한 캔들이 구름대를 밑돌기 시작할 때를 매도 타이밍, 반대인 경우를 매수 타이밍으로 잡습니다.

주봉-차트
주봉 차트

케이엠의 주봉 차트입니다. 과거 2년 동안 거래량이 현저히 줄었습니다. 

월봉-차트
월봉 차트

케이엠의 월봉 차트입니다. 아직은 매수 타이밍이 아니라고 판단되어 관망합니다.

주식배당 결정 공시

작년 12월 14일 케이엠은 주당 0.05주의 주식배당을 결의했다고 공시했습니다. 배당기준일은 작년 12월 31일입니다. 배당이란 주주들에게 기업의 이윤을 분배하는 것으로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주주들에게 보유한 지분에 따라 기업이 벌어들인 돈의 일부를 지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크게 현금배당과 주식배당으로 구분되는데, 현금배당은 주주에게 이익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방법이고, 주식배당은 현금 대신 그에 상응하는 회사의 주식을 지급하는 것을 말합니다. 소유 주식당 배당 주식과 같은 식으로 배당주식이 결정됩니다.

주주명부폐쇄-결정-공시
주주명부폐쇄 결정 공시

주식배당 결정 공시와 동시에 주주명부폐쇄 결정 공시도 뜹니다. 주주명부는 모든 주주의 이름과 주소, 주주가 소유한 주식의 종류와 수 등을 기재한 문서로 회사가 직접 작성하고 관리합니다. 또한 주주들은 언제든지 주주명부를 요구하고 열람할 수 있습니다.

주주명부폐쇄란 주주명부를 특정 기간 수정 불가능하게 닫아버리는 것을 뜻합니다. 주주명부는 상속, 양도 등으로 새로운 주주가 추가되는 경우에 변경되는데, 주주명부 폐쇄 기간에는 주식을 양도받아서 주주가 되었다고 해도 주주명부에 이름을 올릴 수 없습니다.

배당락 공시

배당락이라 함은 배당기준일이 지나 배당금을 받을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주식회사에서는 매 영업연도 종료 후 결산확정과 잉여금처분을 위한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고, 이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과 배당수령권을 확정하기 위하여 권리확정일을 매 영업연도 최종일로 하고, 그 익일부터 주주총회종료일까지 주주명부를 폐쇄합니다. 따라서 배당기준일 다음날의 주가는 전일보다 배당상당분만큼 하락하여 결정되는데 이를 배당락이라 합니다.

현금,-현물배당-공시
현금, 현물배당 공시

1년에 한 번 배당금도 있습니다. 지난 2월 8일 케이엠은 현금 · 현물배당결정 공시를 했습니다. 보통주 1주당 배당금이 50원입니다. 배당금 총액은 5억 원 정도이며, 배당기준일은 2022년 12월 31일이고, 배당금지급 예정일자는 미정입니다. 현재 발행주식 총 수는 11,251,616주이며, 자기 주기 830,151주를 제외한 배당대상주식 수는 10,421,465주입니다.

위 내용은 주린이로서 나름 열심히 공부한 내용입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점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