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서울시 동작구 대방동에 본사를 둔 대한민국 제약 업계 매출 1위의 중견기업인 유한양행 종목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유한양행의 사명은 설립자이자 초대 회장인 유일한 박사의 이름을 따 온 '유한'과 세계로 통한다는 뜻의 '양행'을 합친 말입니다.
유한양행은 어떤 회사인가
1926년 설립된 유한양행은 일반 의약품, 건강기능식품, 동물약품, 치과용품, 진단시약 등의 제조 사업을 영위하는 제약 업체로, 한국능률협회가 선정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존경받는 기업의 제약 부문에서 20년 연속 1위를 달성하는 등 국내 1위의 제약사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설립 초기에는 미국에서 수입한 의약품이나 화장품 등을 팔았으나, 이내 국내에서 자체 제조한 제품도 팔기 시작했습니다. 주요 제품으로는 트윈스타정(혈압강하제), 트라젠타정(혈당강하제), 비리어드정(B형 간염 치료제) 등이 있습니다.
전문의약품 부문에서는 순환기용약, 진통제, 소화기관용약, 진통제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안티푸라민 제품들과 삐콤씨파워정, 큐자임정 등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일반의약품 제품들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한양행은 반려견 헬스케어 사업 부문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2021년 상반기, 뇌질환 치료 신약 개발 기업인 지엔티파마의 반려견 인지기능장애증후군 치료제 '제다큐어 츄어블정'의 독점판권 파트너 계약을 체결하고 전국 300여 개 동물병원에서 제품 판매를 시작했습니다.
이후 종합 반려동물 관리 브랜드 '윌로펫', 동물병원 전용 브랜드 '유한펫'을 론칭하였고, 그 결과 2021년 동물용 의약품 사업부(AHC) 매출은 약 240억 원을 돌파하며 전년 대비 22.2%의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2022년 미국으로 기술수출한 퇴행성 디스크 치료제 'YH14618'의 임상 3상이 승인되는 성과를 내기도 했습니다.
기본적 분석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은 차트를 중심으로 한 기술적 분석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기업의 재무제표를 주로 분석하는 것입니다. 과거와 현재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실적을 예상하는 데 사용됩니다. 장기 보유를 전제로 한 경우에는 배당 등의 이율을 중시하는 입장을 취하고, 주가에 전혀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단기간의 오르내림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접근 방식입니다. 그럼, (주)유한양행 종목의 기업분석을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부채비율은 자본에 비해서 부채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 수 있는 비율입니다. 이 수치가 작을수록 외부 의존도가 낮고 채무를 자체적으로 보다 완만히 해결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산업군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이면 표준비율이기 때문에 양호한 편이고, 200%를 초과하면 위험하다고 봅니다.
유한양행의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29.63%(2020), 27.27%(2021), 23.16%(2022)입니다. 3년 연속 100% 이하로 양호합니다.
영업이익률은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나 되는지를 봅니다. 5.20%(2020), 2.88%(2021), 2.03%(2022년)입니다. 3년동안 10%를 넘는지는 못했습니다.
EPS(Earnings Per Share)는 주당순이익을 뜻합니다. 주식 1주로 얼마의 순이익을 내고 있는지 나타냅니다. 2,477원(2020), 1,318원(2021), 1,223원(2022년)입니다.
PER(Price Earning Ratio)은 기업의 실적과 주가의 관계를 나타낸 지표로 주가수익률을 뜻합니다. 27.76배(2020), 45.06배(2021), 46.78배(2022년)입니다. 10배 이하면 저평가인데, 3년 연속 10배 이상입니다.
BPS(Book-value Per Share)는 주당 순자산 가치, 또는 주당 장부가치를 뜻합니다. 25,520원(2020), 26,823원(2021), 27,754원(2022년)이며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현재 주가는 50,600원(2023.03.31. 현재)입니다.
PBR(Price to Book Ratio)은 주가순자산비율을 뜻합니다. 2.69배(2020), 2.21배(2021), 2.06배(2022년)입니다. 1배 이하면 저평가로 봅니다.
ROE(Return On Equity)는 자기자본이익률입니다. ROE가 10%이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경우 1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10% 이상이면 좋습니다. 11.06%(2020), 5.45%(2021), 4.86%(2022년)이며 3년 연속 감소 추세입니다.
ROA(Return On Assets)는 '총자산이익률'을 뜻합니다. ROA는 ROE와 비교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ROE는 높은데 ROA가 낮은 기업은 재무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함께 높거나 비슷하다면 자산 운용을 잘하는 회사이기 때문에 성장성이 있습니다. 8.44%(2020), 4.08%(2021), 3.67%(2022년)입니다. 3년 연속 감소 추세입니다.
ROS(Return On Sales)는 매출액순이익률을 뜻합니다. 순이익을 순매출로 나눈 것입니다. 동일 업종과 비교할 때만 유용합니다. 표준비율은 5% 이상입니다. 11.75%(2020), 5.87%(2021), 5.10%(2022년)입니다. 3년 연속 5% 이상을 유지하고 있지만, 감소 추세입니다.
당좌비율은 단기에 상환해야 할 부채에 대해서 기업이 얼마나 변제능력이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100%를 넘으면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25.40%(2020), 188.33%(2021), 204.33%(2022년)입니다. 3년 연속 100%를 넘고 있습니다.
유보율은 기업이 얼마나 많은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500% 이상이면 안전하다고 합니다. 2,653.87%(2020), 2,687.89%(2021), 2,712.50%(2022년)이며 증가 추세에 있고, 3년 연속 500% 이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총자산 증가율은 기업의 총자산이 전년 대비 얼마나 증가했는가를 나타냅니다. 20%를 넘을 경우 성장률이 매우 높다고 판단합니다. 하지만 부채가 늘어서 자산이 증가하거나, 부채상환으로 자산이 감소할 수도 있습니다. 2.94%(2021), 0.36%(2022년)입니다. 20%는 넘지 못했고, 감소 추세입니다.
매출액 증가율은 일정 기간 동안 매출액이 증가한 비율을 말합니다. 보통 3년에서 5년간의 데이터를 비교합니다. 높을수록 좋은 기업이나 3년 연속 매출액이 증가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4.19%(2021), 5.21%(2022년)입니다. 증가 추세입니다.
순이익 증가율이란 전기에 비해서 이번 연도에 얼마나 순이익이 증가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장성도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한 해만의 수치로 기업의 성장성을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므로 여러 해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420.22%(2020), -47.95%(2021), -8.58%(2022년)입니다. 2년 연속 마이너스입니다.
영업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574.4%(2020), -42.35%(2021), -25.93%(2022년)입니다. 감소했습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회사가 실제로 해당 기간에 남긴 현금 규모를 파악하기에 가장 좋습니다. 288억 원(2020년) > 990억 원(2021년) > 995억 원(2022년). 증가 추세입니다.
재작년과 작년 모든 기업들이 힘들었던 것을 감안해서 판단해야겠죠. 그래도 상당히 분발한 것 같습니다. 종합적으로 판단했을 때 재무적으로는 상당히 양호한 편이라고 판단됩니다.
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은 기본적 분석과 대비되는 분석으로, 주식 시장에서 주로 시세 동향 그래프인 차트를 이용해 분석하며 과거 주식의 가격이나 거래량 같은 자료를 이용하여 주가 변화의 추세를 발견해 내어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차트를 보며 어떤 시점에서 올라갔고 어떤 시점에서 내려갔는지 이슈를 체크해봅니다. 주식은 관심이 있어야 주가가 올라가기 때문에 낮은 가격 때에 사서 높은 가격 때에 파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그런 부분들을 체크해서 다음 이슈를 노려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또한, 주가가 갑자기 많이 올랐을 때도 그 이유를 찾아보아야 합니다.
유한양행의 일봉 차트입니다. 2022년 4월 8일 주가가 급등했습니다. 이것은 유한양행이 6일 기술 수출한 신약후보물질이 위무력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격적인 임상에 들어갔다고 밝히면서 주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많은 환자가 앓고 있는 위무력증은 위배출이 지연되어 속쓰림, 메스꺼움, 구토 및 팽만감을 유발하는 만성 위운동 장애입니다.
유한양행의 주요 주주인 국민연금은 지난 해인 2022년 10월 초부터 12월 말까지 장내 매도를 통해 유한양행 보유주식 수가 총 44만 2500주가 감소했다고 올해 1월 5일 공시를 통해 밝혔습니다.
2022년 12월 6일, 폐암 치료제인 '렉라자'의 임상 3상 성공 소식에 주가가 강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2023년 1월 16일을 기점으로 데드크로스가 발생하고 이동평균선이 역배열이 되었습니다. 한 동안 조정을 받을 것 같습니다.
일목균형표입니다. 캔들이 기준선(회색선 2pt) 아래에 위치했습니다. 또한 전환선(녹색 1pt)과 데드크로스를 형성했습니다. 그리고 캔들이 구름대에 진입했습니다. 매도 타이밍이라고 판단됩니다.
유한양행의 주봉 차트입니다. 2022년 5000억 원 기술 수출 소식과 실적 성장, 올해 신약 허가 등 다양한 호재가 연이어 있었지만 주가는 요지부동인 그래프를 그리고 있습니다. 현재 박스권을 이루고 있고, 지지를 받는 지점의 주가는 50,00원선인데 깨진 것 같습니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걸까요?
유한양행의 월봉 차트입니다. 대체적으로 재무상태가 양호함에도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는 종목이라고 생각합니다. 단기 추세는 하락이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캔들 차트가 산과 골을 이루며 우상향 추세임을 알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60일선을 깨고 내려올지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2022년 11월 22일, 유한양행은 보통주 1주당 0.05주를 배정하는 무상증자 결정 공시가 있었습니다. 1주당 액면가는 1,000원이며 신주배정기준일은 올해 1월 1일이고, 해당 주식의 상장 예정일은 올해 1월 20일입니다. 따라서 권리락은 2022년 12월 28일이 됩니다.
1년에 한 번 배당금도 있습니다. 보통주 1주당 배당금이 400원입니다. 배당금 총액은 273억 원 정도이며, 배당기준일은 2022년 12월 31일이고, 배당금지급 예정일자는 미정입니다.
위 내용은 주린이로서 나름 열심히 공부한 내용입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점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종목 분석, 주식회사 한국알콜 (2) | 2023.04.15 |
---|---|
주린이의 종목 분석, 주식회사 케이엠 (1) | 2023.04.04 |
일목균형표 설정과 이용 방법. 키움증권 HTS (0) | 2023.04.02 |
주린이의 종목 분석,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2) | 2023.04.01 |
주린이의 종목 분석, 주식회사 아이센스 (0) | 2023.03.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