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투자

주린이의 종목 분석, 주식회사 한국알콜

by 어쩌다흙수저 2023. 4. 15.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정 생산을 비롯해서 국내 유일의 공업용 에탄올, 초산에틸, 초산부틸 생산업체인 한국알콜 종목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한국알콜은 어떤 회사인가

한국알콜은 1984년에 설립되어 1992년 7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업입니다. 주류(소주), 조미료, 음료 등의 식용주정과 소독제, 화장품, 솔벤트, 시약 등 공업용 주정을 생산하고, 페인트, 합성수지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국내 유일의 초산에틸과 초산부틸을 생산업체입니다. 또한 컬러필터용 안료에 분산제 등을 첨가하여 분산처리를 거쳐 디스플레이의 핵심소재 제품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한국알콜은 코로나19 사태 당시 손소독제 수요가 급증하면서 비약적인 실적성장을 거두었습니다. 

 

기본적 분석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은 차트를 중심으로 한 기술적 분석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기업의 재무제표를 주로 분석하는 것입니다. 과거와 현재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실적을 예상하는 데 사용됩니다. 장기 보유를 전제로 한 경우에는 배당 등의 이율을 중시하는 입장을 취하고, 주가에 전혀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단기간의 오르내림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접근 방식입니다. 그럼, (주)한국알콜 종목의 기업분석을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부채비율은 자본에 비해서 부채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 수 있는 비율입니다. 이 수치가 작을수록 외부 의존도가 낮고 채무를 자체적으로 보다 완만히 해결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산업군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이면 표준비율이기 때문에 양호한 편이고, 200%를 초과하면 위험하다고 봅니다. 

한국알콜의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29.78%(2020), 32.11%(2021), 24.31%(2022)입니다. 3년 연속 100% 이하로 양호합니다.

영업이익률은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나 되는지를 봅니다. 15.09%(2020), 10.76%(2021), 4.92%(2022년)입니다. 감소 추세입니다.

EPS(Earnings Per Share)는 주당순이익을 뜻합니다. 주식 1주로 얼마의 순이익을 내고 있는지 나타냅니다. 2,360원(2020), 2,125원(2021), 1,404원(2022년)입니다. 감소 추세입니다.

PER(Price Earning Ratio)은 기업의 실적과 주가의 관계를 나타낸 지표로 주가수익률을 뜻합니다. 5.53배(2020), 5.55배(2021), 7.05배(2022년)입니다. 10배 이하면 저평가입니다.

BPS(Book-value Per Share)는 주당 순자산 가치, 또는 주당 장부가치를 뜻합니다. 18,125원(2020), 20,389원(2021), 21,988원(2022년)이며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현재 주가는 11,360원(2023.04.14. 현재)입니다.

PBR(Price to Book Ratio)은 주가순자산비율을 뜻합니다. 0.72배(2020), 0.58배(2021), 0.45배(2022년)입니다. 1배 이하면 저평가로 봅니다.

ROE(Return On Equity)는 자기자본이익률입니다. ROE가 10%이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경우 1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10% 이상이면 좋습니다. 14.55%(2020), 11.58%(2021), 6.96%(2022년)이며 추세입니다.

ROA(Return On Assets)는 총자산이익률을 뜻합니다. ROA는 ROE와 비교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ROE는 높은데 ROA가 낮은 기업은 재무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함께 높거나 비슷하다면 자산 운용을 잘하는 회사이기 때문에 성장성이 있습니다. 11.25%(2020), 9.13%(2021), 5.88%(2022년)입니다. 감소 추세입니다.

ROS(Return On Sales)는 매출액순이익률을 뜻합니다. 순이익을 순매출로 나눈 것입니다. 동일 업종과 비교할 때만 유용합니다. 표준비율은 5% 이상입니다. 14.10%(2020), 9.67%(2021), 6.59%(2022년)입니다. 3년 연속 5% 이상을 유지하고 있지만, 감소 추세입니다.

당좌비율은 단기에 상환해야 할 부채에 대해서 기업이 얼마나 변제능력이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100%를 넘으면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53.49%(2020), 225.97%(2021), 258.14%(2022년)입니다. 3년 연속 100%를 넘고 있습니다.

유보율은 기업이 얼마나 많은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500% 이상이면 안전하다고 합니다. 3,312.42%(2020), 3,710.89%(2021), 3,977.96%(2022년)이며 증가 추세에 있고, 3년 연속 500% 이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총자산 증가율은 기업의 총자산이 전년 대비 얼마나 증가했는가를 나타냅니다. 20%를 넘을 경우 성장률이 매우 높다고 판단합니다. 하지만 부채가 늘어서 자산이 증가하거나, 부채상환으로 자산이 감소할 수도 있습니다. 13.11%(2020), 14.97%(2021), 2.22%(2022년)입니다. 20%는 넘지 못했습니다.

매출액 증가율은 일정 기간 동안 매출액이 증가한 비율을 말합니다. 보통 3년에서 5년간의 데이터를 비교합니다. 높을수록 좋은 기업이나 3년 연속 매출액이 증가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27.57%(2020), 34.97%(2021), 2.19%(2022년)입니다. 2021년은 힘들었나 봅니다.

순이익 증가율이란 전기에 비해서 이번 연도에 얼마나 순이익이 증가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장성도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한 해만의 수치로 기업의 성장성을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므로 여러 해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63.24%(2020), -7.44%(2021), -30.31%(2022년)입니다. 감소 추세입니다.

영업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69.49%(2020), -3.74%(2021), -53.33%(2022년)입니다. 감소 추세입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회사가 실제로 해당 기간에 남긴 현금 규모를 파악하기에 가장 좋습니다. 618억 원(2020년) > 137억 원(2021년) > 384억 원(2022년) 

매출액 또는 손익의 감소 원인으로 한국알콜은 원재료인 에탄올 가격 급등으로 인한 제조원가 상승 때문인 것 같습니다. 따라서 재작년과 작년 모든 기업들이 힘들었던 것을 감안해서 판단해야겠죠. 그래도 상당히 분발한 것 같습니다. 종합적으로 판단했을 때 재무적으로는 보통이라고 판단됩니다.

 

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은 기본적 분석과 대비되는 분석으로, 주식 시장에서 주로 시세 동향 그래프인 차트를 이용해 분석하며 과거 주식의 가격이나 거래량 같은 자료를 이용하여 주가 변화의 추세를 발견해 내어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차트를 보며 어떤 시점에서 올라갔고 어떤 시점에서 내려갔는지 이슈를 체크해 봅니다. 주식은 관심이 있어야 주가가 올라가기 때문에 낮은 가격 때에 사서 높은 가격 때에 파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그런 부분들을 체크해서 다음 이슈를 노려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또한, 주가가 갑자기 많이 올랐을 때도 그 이유를 찾아보아야 합니다. 

한국알콜-일봉-차트
한국알콜 일봉 차트

한국알콜의 일봉 차트입니다. 재작년 7월 16일경 20일선이 60일선을 뚫고 내려오고 있습니다. 한국알콜은 저평가 종목 같은데 왜 저렇게 내려오는지 모르겠습니다. 특별한 이슈도 없습니다. 작년 여름부터 박스권을 형성하는 듯하다가 올초 저항선인 11,600원대를 뚫어주었으나 다음 저항선에서 밀려 내려와 다시 박스권으로 들어온 것 같습니다. 다시 11,600원대에 근접했는데, 뚫고 올라갈지 궁금해집니다.

한국알콜의-일목균형표
한국알콜의 일목균형표

일목균형표입니다. 전환선(녹색)이 기준선(회색)을 밑도는 지점이 데드크로스이며 매도 타이밍이고, 반대인 경우가 골든크로스이며 매수 타이밍입니다. 또한 캔들이 구름대를 밑돌기 시작할 때를 매도 타이밍, 반대인 경우를 매수 타이밍으로 잡습니다. 그럼 현재 시점은 어떨까요? 구름대 안으로 진입했기 때문에 관망해야 될 것 같습니다.

한국알콜의-주봉-차트
한국알콜의 주봉 차트

한국알콜의 주봉차트입니다. 거래량이 현저히 줄었습니다. 관심이 없는 종목이라는 뜻이겠죠. 이격도를 보면 매수타이밍도 매도타이밍도 아닌 것 같습니다. 

지난달 22일 예산군이 국내 중견기업 3개 사와 4,500억 원 규모의 충청남도 합동 투자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예산군에 투자하는 3개 사는 ㈜이엔에프테크놀로지, ㈜퓨릿, 한국알콜산업㈜로, ㈜이엔에프테크놀로지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용 화학 소재를 생산하는 회사이고, ㈜퓨릿은 기초 화합물 및 유기 용제를 정제해 초고순도 케미컬 제품을 생산하는 기업이고, ㈜한국알콜산업은 국내 유일의 에탄올, 초산에틸, 초산부틸 생산 업체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이 3개 사가 모두 같은 계열사라는 것입니다.

한국알콜의-월봉-차트
한국알콜의 월봉 차트

한국알콜의 월봉 차트입니다. 장기적으로는 우상향 추세이지만 거래량과 이격도로 보아 당분간 횡보할 것 같습니다.

한국알콜산업이 계열사인 ㈜퓨릿의 코스닥 상장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지난 12일 퓨릿은 코스닥 상장을 위한 상장 예비 심사를 청구했다고 합니다. 따라서 오는 7월께 나오는 심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내 증시에 입성하는 것 같습니다. 상장 시 퓨릿의 기업가치를 1000억 원대로 추정하고 있는데, 그럼 70%의 지분을 소유한 한국알콜의 주가에도 영향을 줄지 궁금해집니다. 

 

소액주주의 의결권 대리행사

소액주주 플랫폼 한톨의 김건수 씨는 한국알콜을 상대로 정기주주총회에 정관 변경, 1주당 배당금을 500원, 600원으로 배당금 확대, 사외이사 선임 등 주주제안을 지난 3월 14일 공식 접수시켰습니다.

의결권-대리행사-권유-공시-내용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공시 내용

한톨은 서울대 4학년생인 김건수씨와 성균관대 4학년생인 장기윤 씨가 만든 행동주의 플랫폼이며, 온라인에서 소액주주들을 대상으로 한국알콜 의결권을 위임받기 시작했고 전자계약을 통해 정식 접수된 지분율은 2%를 넘긴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톨은 소액주주들이 직접 지분을 모아 한국알콜에 대한 주주제안을 함으로써, 지배주주의 전횡이나 오너 일가의 지나친 사익편취 행위, 기업가치 훼손 방지를 하기 위해, 또한 소액주주들의 불만과 피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가 필요해 이번에 직접적이면서 적극적인 주주행동에 나서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알콜은 수익성이 높고 건실한 회사이지만, 자본총계가 4,674억 원임에도 시가총액은 2,435억 원 수준으로 지나치게 저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과 소극적인 배당, 그리고 한국알콜과 케이씨엔에이(KC&A)와의 내부거래 비중이 높고, 케이씨엔에이만의 고배당, 이런 오너일가 전횡 등을 더 이상 방치하지 않겠다는 소액주주들의 판단인 것 같습니다. 

지난달 3월 28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안건으로 올라온 1주당 현금배당 500원, 600원은 모두 부결되었고, 사외이사 김동현, 정준명 선임 건과 사외이사 차재목 현 김앤장 법률사무소 변호사 신규선임 건은 통과가 되었습니다.

 

배당금

한국알콜의 지용석 회장을 비롯한 최대주주이자 그의 친인척이 주식 100%를 보유한 비상장사인 케이씨엔에이(KC&A)에 일감 몰아주기 등 내부거래에서 발생한 이익으로 매년 고배당을 유지하여 2020년에는 배당금을 역대 최고 수준인 1주당 28,000원으로 책정했고, 이렇게 고배당 정책을 펼쳐오다가 소액주주들의 원성으로 2021년부터 역대 최저 수준인 1주당 1000원씩 지급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현금-배당-결정-공시
현금 배당 결정 공시

반면, 한국알콜의 경우는 지난 3년 동안 1주당 배당금을 100원이었으며, 게다가 올해는 현금배당 규모를 보통주 1주당 50원으로 지난 2월 13일 현금 · 현물배당결정 공시를 했습니다. 배당금 총액은 10억 원 정도이며, 배당기준일은 2022년 12월 31일이고, 배당금지급 예정일자는 2023년 4월 21일입니다. 배당금총액은 총 발생주식 21,605,760주에서 의결권이 없는 자기 주식 1,025,167주를 제외한 20,580,593주에 대하여 산정한 것입니다.

위 내용은 주린이로서 나름 열심히 공부한 내용입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점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