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내 주식 투자

주린이의 종목 분석,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by 어쩌다흙수저 2023. 4. 1.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반도체 설비 관련 중견기업인 한양이엔지 주식회사 종목을 주린이 입장에서 분석을 해보겠습니다.  

한양이엔지-홈페이지
한양이엔지 홈페이지

 

한양이엔지는 어떤 회사인가

한양이엔지 회사는 1982년 한양기공으로 시작으로 1988년 설립되어 1990년대 초 가스플랜트 기반으로 시작한 이후, 현재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설비에 들어가는 필수적인 초고순도 특수설비 등을 제조하는 엔지니어링 기업이며, 2000년 8월 31일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한양이엔지의 사업은 하이테크와 시스템, EPU 사업부로 나뉩니다.

배관-유틸리티-시스템
배관 유틸리티 시스템

하이테크 사업부는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배관 유틸리티 시스템(Utility System)을 제공하고 있으며, 국내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그리고 FAB 설비 공사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시스템 사업부는 설계 · 제작 · 설치 · 운영 · 유지보수까지 화학물질공급의 전 과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분야에 화학물질 중앙공급장치(CCSS), 클린룸(Clean-Room) 제조의 설계부터 설치까지 전 단계에 걸쳐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EPU 사업부는 우주항공사업을 비롯해 가스 · 화공산업 설비, 바이오 · 제약 설비, 친환경 수처리 설비의 제조를 담당하고 있으며, 국내 주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조업체인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에 신규 설치에서 유지보수까지 수행하고 있습니다. 

1990년대 후반 누리호 운송수단인 발사체의 지상설비 사업을 시작한 이후, 2013년 발사된 나로호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발사대 시스템 중 추진체 공급시스템과 지상 기계설비의 공압 부분을 구축하고 지원하였고, 2017년 발사체에 연료와 가스 등을 공급하는 장치인 엄빌리칼(Umbilical) 개발하여 현재 진행하고 있는 누리호 프로젝트에 부품을 공급하는 등 성과를 거두면서 점차 납품하는 탑재품을 늘려가고 있습니다. 작은 규모지만 27여 년이 넘도록 사업을 지속하고 있으며 2000년대 초반 우주항공팀을 별도 조직해 나로호부터 누리호 발사 과정까지 참여하여 발사대 추진제 공급설비를 담당하였습니다.

 

기본적 분석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은 차트를 중심으로 한 기술적 분석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기업의 재무제표를 주로 분석하는 것입니다. 과거와 현재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실적을 예상하는 데 사용됩니다. 장기 보유를 전제로 한 경우에는 배당 등의 이율을 중시하는 입장을 취하고, 주가에 전혀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단기간의 오르내림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접근 방식입니다. 그럼, 한양이엔지 종목의 기업분석을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부채비율은 자본에 비해서 부채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 수 있는 비율입니다. 이 수치가 작을수록 외부 의존도가 낮고 채무를 자체적으로 보다 완만히 해결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산업군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이면 표준비율이기 때문에 양호한 편이고, 200%를 초과하면 위험하다고 봅니다. 

한양이엔지의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48.05%(2020), 51.36%(2021), 54.87%(2022)입니다. 현재 100% 이하로 양호합니다.

영업이익률은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나 되는지를 봅니다. 7.03%(2020), 6.18%(2021), 6.47%(2022년)입니다. 3년 동안 10%를 넘는지 못했습니다.

EPS(Earnings Per Share)는 주당순이익을 뜻합니다. 주식 1주로 얼마의 순이익을 내고 있는지 나타냅니다. 2,674원(2020), 2,547원(2021), 3,876원(2022년)입니다.

PER(Price Earning Ratio)은 기업의 실적과 주가의 관계를 나타낸 지표로 주가수익률을 뜻합니다. 6.38배(2020), 6.62배(2021), 3.73배(2022년)입니다. 10배 이하면 저평가인데, 3년 10배 이하입니다.

BPS(Book-value Per Share)는 주당 순자산 가치, 또는 주당 장부가치를 뜻합니다. 21,129원(2020), 23,732원(2021), 27,595원(2022년)이며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현재 주가는 15,740원(2023.03.31. 현재)입니다.

PBR(Price to Book Ratio)은 주가순자산비율을 뜻합니다. 0.81배(2020), 0.71배(2021), 0.52배(2022년)입니다. 1배 이하면 저평가로 봅니다.

ROE(Return On Equity)는 자기자본 이익률입니다. ROE가 10%이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경우 1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10% 이상이면 좋습니다. 13.85%(2020), 11.75%(2021), 15.76%(2022년)이며 3년 연속 10%는 넘었습니다.

ROA(Return On Assets)는 '총자산 이익률'을 뜻합니다. ROA는 ROE와 비교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ROE는 높은데 ROA가 낮은 기업은 재무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함께 높거나 비슷하다면 자산 운용을 잘하는 회사이기 때문에 성장성이 있습니다. 8.97%(2020), 7.84%(2021), 10.29%(2022년)입니다.

ROS(Return On Sales)는 매출액 순이익률을 뜻합니다. 순이익을 순매출로 나눈 것입니다. 동일 업종과 비교할 때만 유용합니다. 표준비율은 5% 이상입니다. 6.34%(2020), 5.14%(2021), 6.00%(2022년)입니다. 3년 연속 5% 이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좌비율은 단기에 상환해야 할 부채에 대해서 기업이 얼마나 변제능력이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100%를 넘으면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191.15%(2020), 186.07%(2021), 168.23%(2022년)입니다. 3년 연속 100%를 넘고 있습니다.

유보율은 기업이 얼마나 많은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500% 이상이면 안전하다고 합니다. 4,108.25%(2020), 4,511.80%(2021), 5,197.59%(2022년)이며 증가 추세에 있고, 3년 연속 500% 이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총자산 증가율은 기업의 총자산이 전년 대비 얼마나 증가했는가를 나타냅니다. 20%를 넘을 경우 성장률이 매우 높다고 판단합니다. 하지만 부채가 늘어서 자산이 증가하거나, 부채상환으로 자산이 감소할 수도 있습니다. 14.82%(2021), 17.07%(2022년)입니다. 20%는 넘지 못했지만, 증가 추세입니다.

매출액 증가율은 일정 기간 동안 매출액이 증가한 비율을 말합니다. 보통 3년에서 5년간의 데이터를 비교합니다. 높을수록 좋은 기업이나 3년 연속 매출액이 증가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17.47%(2021), 30.52%(2022년)입니다. 증가 추세입니다.

순이익 증가율이란 전기에 비해서 이번 연도에 얼마나 순이익이 증가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장성도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한 해만의 수치로 기업의 성장성을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므로 여러 해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4.78%(2021), 52.40%(2022년)입니다. 감소에서 증가로 전환되었습니다.

영업이익 증가율은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3.38%(2021), 36.66%(2022년)입니다. 증가했습니다.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회사가 실제로 해당 기간에 남긴 현금 규모를 파악하기에 가장 좋습니다. 744억 원(2020년) > -50억 원(2021년) > 808억 원(2022년). 2021년 많이 힘들었나 봅니다. 

재작년과 작년 모든 기업들이 힘들었던 것을 감안해서 판단해야겠죠. 그래도 상당히 분발한 것 같습니다. 종합적으로 판단했을 때 재무적으로는 상당히 양호한 편이라고 판단됩니다.

 

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은 기본적 분석과 대비되는 분석으로, 주식 시장에서 주로 시세 동향 그래프인 차트를 이용해 분석하며 과거 주식의 가격이나 거래량 같은 자료를 이용하여 주가 변화의 추세를 발견해 내어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차트를 보며 어떤 시점에서 올라갔고 어떤 시점에서 내려갔는지 이슈를 체크해 봅니다. 주식은 관심이 있어야 주가가 올라가기 때문에 낮은 가격 때에 사서 높은 가격 때에 파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그런 부분들을 체크해서 다음 이슈를 노려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또한, 주가가 갑자기 많이 올랐을 때도 그 이유를 찾아보아야 합니다.

한양이엔지의-일봉-차트
한양이엔지의 일봉 차트

한양이엔지의 일봉 차트입니다. 2021년 5월 단기 이평선이 정배열을 만들며 급상승 추세였으나 6월 추세선으로 보면 단기 이평선이 역배열을 만들며 조정을 받다가 다시 상승으로 돌아서는 듯하였으나, 이후 계속 하락 추세입니다. 이 시기에 특별한 이슈가 없는 것으로 보아 기관이나 외인이 차익실현을 하기 위해 매도한 것 같습니다.

한양이엔지의-주봉-차트
한양이엔지의 주봉 차트

한양이엔지의 주봉 차트입니다. 현재 박스권을 이루고 있고, 지지를 받는 지점의 주가는 12,400원~12,500원선입니다. 저항을 받고 있는 17,000원대를 뚫어줄지는 더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원 표시는 1차 매도 타이밍이라고 생각해서 표시한 것입니다.

한양이엔지의-월봉-차트
한양이엔지의 월봉 차트

한양이엔지의 월봉 차트입니다. 대체적으로 재무상태가 양호함에도 관심을 받고 있지 못하는 저평가된 종목이라고 생각합니다. 장기적으로 보면 캔들 차트가 산과 골을 이루며 우상향 추세임을 알 수가 있습니다. 원 표시는 1차 매수 타이밍이라고 판단해서 표시했습니다.

현금,-현물배당-공시
현금, 현물배당 공시

1년에 한 번 배당금도 있습니다. 보통주 1주당 배당금이 600원입니다. 배당금 총액은 102억 원 정도이며, 배당기준일은 2022년 12월 31일이고, 배당금지급 예정일자는 2023년 4월 26일입니다.

위 내용은 주린이로서 나름 열심히 공부한 내용입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점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