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의료기기인 엑스레이 디텍터와 영상 처리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엑스레이 디텍터 제조업체인 뷰웍스 종목을 분석해 보겠습니다.
(주)뷰웍스는 어떤 회사인가
1999년에 레이시스로 설립된 후 2006년 뷰웍스로 사명을 변경하였으며, 2009년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기업입니다.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엑스레이 디텍터와 영상 처리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엑스레이 디텍터 제조 업체입니다.
엑스레이 디텍터는 인체 등을 통과한 엑스레이를 감지하여 이를 사람이 볼 수 있도록 변환하는 장치이며, 주로 의료용으로 사용되며 기존 아날로그식 엑스레이(X-ray) 필름을 대체해 영상을 디지털화하는 장비입니다. 뷰웍스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영상 처리 기술이 적용된 뷰어 프로그램 등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뷰웍스는 광학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초고해상도 산업용 카메라를 개발합니다. 산업용 카메라는 산업 자동화의 핵심 분야인 머신비전에서 ‘눈’을 담당하는 부품입니다.
뷰웍스는 광학 기술과 영상 처리 기술을 바탕으로 바이오 영상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인비보 영상 시스템은 바이오 영상 시스템 중 하나로, 전임상용 소동물 이미징 장비입니다. 인비보 영상 시스템은 실험용 동물의 생체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을 연구하거나 생체의 약리학적 반응을 연구할 때 사용됩니다.
기본적 분석
기본적 분석(Fundamental Analysis)은 차트를 중심으로 한 기술적 분석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기업의 재무제표를 주로 분석하는 것입니다. 과거와 현재의 데이터를 이용해서 실적을 예상하는 데 사용됩니다. 장기 보유를 전제로 한 경우에는 배당 등의 이율을 중시하는 입장을 취하고, 주가에 전혀 관심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단기간의 오르내림에 일희일비하지 않는 접근 방식입니다. 그럼, 뷰웍스 종목의 기업분석을 항목별로 살펴보겠습니다.
부채비율은 자본에 비해서 부채가 얼마나 되는지를 알 수 있는 비율입니다. 이 수치가 작을수록 외부 의존도가 낮고 채무를 자체적으로 보다 완만히 해결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산업군마다 다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은 100% 이하이면 표준비율이기 때문에 양호한 편이고, 200%를 초과하면 위험하다고 봅니다.
뷰웍스의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15.41%(2020), 27.95%(2021), 37.79%(2022)입니다. 3년 연속 100% 이하로 양호합니다.
당좌비율은 단기에 상환해야 할 부채에 대해서 기업이 얼마나 변제능력이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100%를 넘으면 안정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75.34%(2020), 165.54%(2021), 121.20%(2022년)입니다. 3년 연속 100% 이상을 유지하고 있어 안정적입니다.
유보율은 기업이 얼마나 많은 자금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일반적으로 500% 이상이면 안전하다고 합니다. 3,621.96%(2020), 4,205.31%(2021), 4,627.76%(2022년)이며 증가 추세에 있고, 3년 연속 500% 이상을 유지하고 있어 상당히 안전한 편입니다.
영업이익률은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나 되는지를 봅니다. 18.14%(2020), 18.02%(2021), 18.35%(2022년)입니다. 양호한 편입니다.
EPS(Earnings Per Share)는 주당순이익을 뜻합니다. 주식 1주로 얼마의 순이익을 내고 있는지 나타냅니다. 2,289원(2020), 3,347원(2021), 2,653원(2022년)입니다.
PER(Price Earning Ratio)은 기업의 실적과 주가의 관계를 나타낸 지표로 주가수익률을 뜻합니다. 10배 이하면 저평가입니다. 13.26배(2020), 12.52배(2021), 11.36배(2022년)입니다.
BPS(Book-value Per Share)는 주당 순자산 가치, 또는 주당 장부가치를 뜻합니다. 18,019원(2020), 20,479원(2021), 22,784원(2022년)이며 증가 추세에 있습니다. 현재 주가는 34,000원(2023.04.18. 현재)입니다.
PBR(Price to Book Ratio)은 주가순자산비율을 뜻합니다. 1배 이하면 저평가로 봅니다. 1.68배(2020), 2.05배(2021), 1.32배(2022년)입니다.
ROE(Return On Equity)는 자기자본이익률입니다. ROE가 10%이면, 10억 원의 자본을 투자했을 경우 1억 원의 이익을 냈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10% 이상이면 좋습니다. 13.80%(2020), 18.68%(2021), 13.36%(2022년)이며 양호합니다.
ROA(Return On Assets)는 총자산이익률을 뜻합니다. ROA는 ROE와 비교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ROE는 높은데 ROA가 낮은 기업은 재무 안정성에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함께 높거나 비슷하다면 자산 운용을 잘하는 회사이기 때문에 성장성이 있습니다. 12.15%(2020), 15.31%(2021), 10.00%(2022년)입니다. 양호합니다.
ROS(Return On Sales)는 매출액순이익률을 뜻합니다. 순이익을 순매출로 나눈 것입니다. 동일 업종과 비교할 때만 유용합니다. 표준비율은 5% 이상입니다. 14.35%(2020), 17.35%(2021), 11.14%(2022년)입니다. 3년 연속 5% 이상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총자산증가율은 기업의 총자산이 전년 대비 얼마나 증가했는가를 나타냅니다. 20%를 넘을 경우 성장률이 매우 높다고 판단합니다. 하지만 부채가 늘어서 자산이 증가하거나, 부채상환으로 자산이 감소할 수도 있습니다. 8.78%(2020), 22.30%(2021), 19.77%(2022년)입니다. 20%는 넘지 못했지만, 양호한 편입니다.
매출액증가율은 일정 기간 동안 매출액이 증가한 비율을 말합니다. 보통 3년에서 5년간의 데이터를 비교합니다. 높을수록 좋은 기업이나 3년 연속 매출액이 증가하는지를 살펴보아야 합니다. 17.87%(2020), 20.46%(2021), 36.56%(2022년)입니다. 증가 추세입니다. 상당히 양호한 편입니다.
순이익증가율이란 전기에 비해서 이번 연도에 얼마나 순이익이 증가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높을수록 기업의 수익성장성도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한 해만의 수치로 기업의 성장성을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므로 여러 해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5.35%(2020), 45.65%(2021), -20.90%(2022년)입니다. 감소했네요.
영업이익증가율은 전년 대비 영업이익이 얼마나 증가했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10.23%(2020), 19.59%(2021), 25.57%(2022년)입니다. 증가 추세입니다.
영업활동현금흐름은 회사가 실제로 해당 기간에 남긴 현금 규모를 파악하기에 가장 좋습니다. 63억 원(2020년) > 162억 원(2021년) > -15억 원(2022년)으로 감소했습니다.
재작년과 작년 모든 기업들이 힘들었던 것을 감안해서 판단해야겠죠. 그래도 상당히 분발한 것 같습니다. 종합적으로 판단했을 때 재무적으로는 양호한 편이라고 판단됩니다.
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은 기본적 분석과 대비되는 분석으로, 주식 시장에서 주로 시세 동향 그래프인 차트를 이용해 분석하며 과거 주식의 가격이나 거래량 같은 자료를 이용하여 주가 변화의 추세를 발견해 내어 미래의 주가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차트를 보며 어떤 시점에서 올라갔고 어떤 시점에서 내려갔는지 이슈를 체크해 봅니다. 주식은 관심이 있어야 주가가 올라가기 때문에 낮은 가격 때에 사서 높은 가격 때에 파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그런 부분들을 체크해서 다음 이슈를 노려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또한, 주가가 갑자기 많이 올랐을 때도 그 이유를 찾아보아야 합니다.
뷰웍스의 일봉 차트입니다. 지난해 7월 중순 3만 원대를 움직이던 주가는 7월 말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8월 16일에는 장중 4만 4550원까지 치솟았습니다. 하지만 바로 급락세를 보이며 10월 중순에는 3만 원대로 다시 회귀했습니다. 이후 소폭 반등하며 3만 4000원 안팎에서 거래되다가 11월 초부터 다시 하락세로 보이며 12월 중순에는 3만 원대로 주저앉았습니다.
2021년 5월, 8월, 12월, 2022년 1월, 7월에 급등한 이유를 찾아보았으나 특별한 이슈는 없었습니다. 2022년 11월 2일 갭하락한 이유는 파생상품거래에서 -221억의 손실이 발생했다는 공시 때문인 것 같습니다.
올 들어서는 반등하며 최근에는 3만 3000원대로 올라섰지만, 지난해 3분기에 다소 저조한 실적을 보였고,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1% 줄었고. 당기순이익은 손실로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 했습니다. 당분간 하락 추세를 이어갈 것 같습니다.
뷰웍스의 일목균형표입니다. 전환선(녹색 1pt)이 기준선(회색 2pt)을 밑도는 지점이 데드크로스이며 매도 타이밍이고, 반대인 경우가 골든크로스이며 매수 타이밍입니다. 또한 캔들이 구름대를 밑돌기 시작할 때를 매도 타이밍, 반대인 경우를 매수 타이밍으로 잡습니다. 그럼 현재 시점은 어떨까요? 구름대 위에 있기 때문에 매수 또는 유지로 보이나 이격도를 보면 매도타이밍으로 보입니다. 물론 제 생각이 틀릴 수도 있습니다.
뷰웍스의 주봉 차트입니다. 거래량이 현저히 줄었습니다. 재무상태가 견실한 기업임에도 관심이 없는 종목인 것 같습니다. 이격도를 보아 당분간 하락 추세선을 그릴 것 같습니다.
뷰웍스의 월봉 차트입니다. 과거 5년 동안 박스권에 있는 것 같습니다. 역시 당분간 박수권 안에 있을 것 같습니다.
배당금
올해 2월 13일에 보통주 1주당 70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다고 공시했습니다. 배당금총액은 64억 2733만 7700원이고 배당기준일은 2022년 12월 31일입니다.
위 내용은 주린이로서 나름 열심히 공부한 내용입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다는 점 잊지 마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 시간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국내 주식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린이의 종목 분석, 주식회사 동방아그로 (0) | 2023.04.22 |
---|---|
주린이의 종목 분석, 주식회사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0) | 2023.04.19 |
주린이의 종목 분석, 주식회사 유니드 (0) | 2023.04.17 |
주린이의 종목 분석, 주식회사 한국알콜 (2) | 2023.04.15 |
주린이의 종목 분석, 주식회사 케이엠 (1) | 2023.04.04 |
댓글